도시계획사업 모바일 지도가 GIS(지리정보시스템)를 기반으로 한 ‘도시계획사업 모바일 지도시스템’의 시범 운영을 시작했으며, 내년 하반기에는 이를 시민들에게 공개할 예정으로 각 자치구별로 진행 중인 도시계획 사업의 규모와 현황 등 정보를 모으고, 이를 유형에 맞춰 통일하여 모바일을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습니다.이지 도는 유사한 사업이 중복되거나 개발이 편중되는 문제를 막고,잘못된 투자로 인한 피해자도 줄 일 것 같습니다.
도시계획사업 모바일 지도란?
도시계획사업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GIS(지리정보시스템) 기반 ‘도시계획사업 모바일 지도시스템’을 시범 운영 중입니다. 이 시스템은 현재 시와 구의 도시계획 담당 공무원을 대상으로 운영되며, 시스템 안정화와 PC 버전 개발 과정을 거쳐 내년 하반기부터 시민들에게도 공개될 예정입니다.
모바일 기기를 통해 언제 어디서나 접근할 수 있는 이 시스템은 서울 전역의 신속통합기획, 모아타운, 청년안심주택, 재정비촉진사업 등의 주요 도시계획사업 현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해 주며, 사업의 위치, 규모, 유형, 진행 상황 등의 세부 정보를 제공합니다.
서울시 재개발 재건축 확인 사이트모바일 지도 시스템의 필요성
서울시는 도시의 균형 발전을 위해 다양한 도시계획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정보는 종종 분산되어 있어 시민들이 접근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았습니다. 따라서, 모바일 지도를 통해 시민들이 실시간으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특정 지역의 유사 사업 중복 및 편중 개발을 방지하고자 합니다.
주요 기능 및 특징
- 실시간 정보 제공 : 사용자는 모바일을 통해 현재 진행 중인 도시계획사업의 현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다양한 카테고리 : 지도는 ‘정비사업’, ‘역세권 사업’ 등 다양한 카테고리로 나뉘어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무엇을 볼 수 있나요?
서울시는 올해 4월부터 7월까지 1단계 작업으로, 서울의 25개 자치구별로 15개 유형에 해당하는 도시계획사업 3,118건의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했습니다. 연말까지는 종로구, 용산구, 강서구, 송파구 등 4개 시범 자치구에서 28개 유형의 도시계획사업 총 3,653건에 대한 정보를 추가로 데이터베이스화할 계획입니다.
차후에는 서울 전역의 도시계획사업 수량, 면적, 추진 단계 등의 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될 예정이고 이를 통해 서울시는 도시계획사업의 중복과 편중을 방지하고 균형 있는 발전을 지원할 계획입니다.
재개발 성공 투자 가이드도시계획사업 모바일 지도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구축 현황
1단계 | 2024년 4~7월 | 25개 자치구 | 15개 유형 | 3,118건 | 초기 데이터베이스 구축 |
2단계 | 2024년 연말까지 | 종로구, 용산구, 강서구, 송파구 | 28개 유형 | 3,653건 | 시범 자치구 추가 데이터베이스 구축 |
향후 계획 | – | 서울 전역 | 모든 유형 | 미정 | 서울 시내 모든 도시계획사업 데이터베이스화 |
어떤 효과를 기대할 수 있나요?
‘도시계획사업 모바일 지도시스템’ 구축이 완료되면 특정 지역에 유사한 사업이 중복되거나 개발이 편중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시의 균형 발전을 도모하고 도시계획 정책 결정을 지원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조남준 서울시 도시공간본부장은 “이번 지도시스템 구축으로 효율적이고 균형 있는 현장 중심의 도시계획업무를 수행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앞으로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해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가겠다”라고 밝혔습니다.
주요 기능 | 실시간 도시계획사업 정보 제공 (신속통합기획, 모아타운, 청년안심주택 등) |
대상 정보 유형 | 사업 위치, 유형, 규모, 추진 현황 등 |
개발 완료 예상 시기 | 내년 하반기 대시민 서비스 시작 |
기대 효과 | 중복·편중 개발 방지, 균형발전, 정책 결정 지원 |
시스템 향후 발전 방향 |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과 기능 개선을 통한 지속적인 시스템 발전 |
이 모바일 지도는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사용자는 원하는 지역을 검색하고, 관련된 도시계획사업 정보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접근성은 시민들이 도시계획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참여를 유도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